📖 생각의 주머니73 기후윤리: 우리가 지구에 책임져야 할 도덕적 의무는 무엇인가? 아침 뉴스에서 “기후 이상으로 올해 여름은 4월부터 시작되겠습니다.”라는 보도를 듣고 문득 생각이 들었습니다. 계절의 리듬이 어긋나고, 북극곰의 서식지가 사라지고, 폭염과 폭우가 일상이 된 지금, 우리에게 묻습니다. “이대로 괜찮은 걸까?” 그리고 조금 더 깊이 들어가면, 이렇게 묻게 됩니다. “우리는 지구에 대해 도덕적 책임을 지고 있는가?”기후 위기는 과학이 아니라 윤리의 문제입니다많은 사람들은 기후 변화를 과학적인 데이터나 정책의 문제로만 여깁니다. 하지만 철학자들은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윤리적 문제로 봅니다. 왜냐하면, 기후 변화는 인간의 행위가 초래한 것이며, 그 피해는 가장 약한 이들에게 먼저 찾아오기 때문입니다.기후윤리는 이렇게 묻습니다. “우리는 미래 세대에게 어떤 지구를 물려줄 것인가?”.. 2025. 4. 5. 미래의 윤리: 유전자 편집, 우주 식민지화 등 미래 기술의 윤리적 문제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점점 더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유전자를 편집해 병을 없애고, 인공지능이 인간처럼 글을 쓰며, 화성 이주 계획이 현실이 되는 이 시대에, 우리는 어떤 기준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해야 할까요? 이 질문은 단순히 과학의 영역이 아니라, 윤리철학의 깊은 숙고가 필요한 영역입니다.‘할 수 있다’는 ‘해야 한다’는 뜻인가?21세기 과학기술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는 유전자 편집입니다. CRISPR라는 기술을 통해 특정 유전자를 제거하거나 교체함으로써, 유전병을 없애고, 심지어는 인간의 지능이나 외모까지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도 열리고 있습니다.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질문이 하나 생깁니다.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 윤리적으로도 허용되는가?” 고대 철학자 칸트는 이에 대해 단호히 말합니다. 인.. 2025. 4. 5. 죽음이란 무엇인가? 어느 날 문득, 우리가 아끼는 사람이 세상을 떠난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혹은 눈부신 해가 지는 풍경을 바라보며 ‘나는 언젠가 사라지겠지’라는 생각이 스쳐갈 때, 우리 마음속엔 무언가 설명할 수 없는 조용한 질문이 자리 잡습니다. 바로 “죽음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입니다. 삶의 거울로서의 죽음: 소크라테스의 마지막죽음의 철학은 단순히 죽는다는 생물학적 사건을 다루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가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철학적 대답이기도 합니다.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는 죽음 앞에서도 흔들림이 없었습니다. 그는 아테네 시민에게 불경죄로 고발당한 후, 독배를 들며 조용히 죽음을 받아들였습니다. 제자 크리톤이 도망칠 기회를 마련해주겠다고 하자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죽음이 두렵다는.. 2025. 4. 4. '좋음'은 보편적 개념인가, 아니면 문화적으로 규정되는가? 친구와 맛있는 떡볶이를 먹으며 “진짜 좋다”라고 말한 적이 있나요? 또는 책을 읽고 “정말 좋은 이야기였어”라고 느낀 적은요? 이처럼 우리는 일상 속에서 자주 ‘좋음’이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이 “좋다”는 감정은 누구에게나 같은 의미일까요? 아니면,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걸까요?‘좋음’은 보편적인가? — 플라톤의 이상주의플라톤(Plato)은 “좋음”이 단지 개인의 취향이나 문화의 산물이 아니라고 보았습니다. 그는 ‘좋음’이라는 개념이 감각 세계를 넘어선 이데아 세계에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데아란 현실 세계의 본질적 원형으로, 모든 좋은 것들은 이 ‘선의 이데아’를 모방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지요.“선의 이데아는 모든 지식과 진리의 근원이다.” – 플라톤, 『국가』따라서 플라톤.. 2025. 4. 2. 엘런튜링의 기계는 생각할수 있는가? “기계는 생각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처음 진지하게 던진 사람은 바로 앨런 튜링(Alan Turing)입니다. 그는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인물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의 암호 '에니그마'를 해독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튜링 테스트란 무엇인가?앨런 튜링은 인간과 기계를 구별하는 기준으로 ‘튜링 테스트’라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간단히 말해, 어떤 기계가 인간처럼 대화를 나눌 수 있다면, 그리고 그 대화에서 인간과 구별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 기계가 ‘생각할 수 있다’고 말해도 된다는 것입니다.“만약 어떤 기계가 사람처럼 말하고, 듣고, 반응할 수 있다면, 그 기계는 생각한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 앨런 튜링튜링은 인간의 사고 능력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없듯, 기계의 사고 능력도 .. 2025. 4. 2. 기술과 인간성: AI와 기술 발전이 인간성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 요즘 인공지능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는 소식,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챗봇, 자율주행차, 얼굴 인식 기능까지—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기술은 더 똑똑해지고, 점점 더 인간처럼 행동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기술 발전 속에서 문득 이런 질문이 떠오릅니다. “기술이 발달하면 인간다움은 어떻게 될까?”기술은 인간성을 위협할까?우리는 종종 기술을 편리함과 효율성의 상징으로 여깁니다. 하지만 마르틴 하이데거는 기술에 대해 전혀 다른 시각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기술이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인간이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을 바꾸는 존재라고 보았습니다. 특히 ‘현전(現前)의 도구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기술이 자연을 자원으로만 보게 만드는 시각을 비판했지요.“기술은 단지 수단이 아니다. 기술은 세계에 대한 인.. 2025. 4. 2. 이전 1 ··· 5 6 7 8 9 10 11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