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스튜어트밀3 컬럼비아대 시위가 던진 질문 - 표현의 자유, 어디까지 허용할 것인가?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최근 뉴스 중 한 장면을 함께 살펴보고, 거기서 파생할 수 있는 중요한 철학적 질문을 던져보려 합니다.컬럼비아대학교에서 벌어진 시위 통제 사태를 아시나요?관련 기사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컬럼비아대 시위 통제와 분열의 상징화 기사 보기 컬럼비아대 시위 통제와 분열의 상징화컬럼비아대 시위 통제 강화로 자유로운 토론 문화가 위축되고 있다. 대학의 분열과 학문적 자유 제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world-newsfrontier.blogspot.com이번 사태는 단순한 한 학교의 문제가 아닙니다.자유와 질서, 표현의 자유와 공공의 안전, 그리고 사회적 분열이라는 더 깊은 철학적 문제를 우리에게 던지고 있습니다. 1. 자유와 질서: 대학의 역할은 무엇인가?🧠 대학은 어떤.. 2025. 4. 29. 존 스튜어트 밀의 질적 공리주의와 자유론 무언가를 결정해야 할 때, 우리는 보통 “이게 더 많은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까?”를 따져보게 됩니다. 이 기준은 바로 공리주의에서 온 것입니다. 하지만 과연 ‘많은 사람의 행복’만이 우리가 결정을 내릴 때의 유일한 기준일까요?오늘은 존 스튜어트 밀이라는 철학자를 중심으로, 그의 질적 공리주의와 자유론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쾌락에도 ‘질’이 있다 – 존 스튜어트 밀의 질적 공리주의벤담은 모든 쾌락이 동일하다고 보고, 쾌락의 양을 기준으로 계산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존 스튜어트 밀은 이에 반대했습니다. 그는 “모든 쾌락이 같지 않다”고 말하며 질적인 차이를 강조합니다.“만족한 돼지가 되는 것보다, 불만족한 인간이 되는 것이 낫다.” – 존 스튜어트 밀밀은 독서나 예술처럼 지적인 활동에서 얻는 쾌락이, .. 2025. 3. 31. 벤담과 공리주의-‘다수의 행복’은 언제나 정의로운가? 우리는 매일 선택을 하며 살아갑니다. 친구와 점심 메뉴를 고를 때, 지하철에서 노약자에게 자리를 양보할 때, 심지어 시험 범위를 정할 때도 우리는 ‘무엇이 더 좋을까?’를 고민하지요. 그런데 ‘좋다’는 기준은 어디서 오는 걸까요? 모든 사람에게 좋은 일이란 존재할 수 있을까요?오늘은 제러미 벤담이라는 철학자가 제안한 공리주의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행복을 숫자로 셀 수 있을까?벤담은 18세기 영국에서 활동한 철학자입니다. 그는 인간이 하는 모든 행동의 목적은 결국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는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다음과 같은 말로 자신의 철학을 요약합니다.“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최대한의 행복을.”공리주의는 바로 이 생각에서 출발합니다. 어떤 행동이 옳은가를 판단할 때, 그 결과가 많.. 2025. 3. 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