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의상대성1 '좋음'은 보편적 개념인가, 아니면 문화적으로 규정되는가? 친구와 맛있는 떡볶이를 먹으며 “진짜 좋다”라고 말한 적이 있나요? 또는 책을 읽고 “정말 좋은 이야기였어”라고 느낀 적은요? 이처럼 우리는 일상 속에서 자주 ‘좋음’이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이 “좋다”는 감정은 누구에게나 같은 의미일까요? 아니면,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걸까요?‘좋음’은 보편적인가? — 플라톤의 이상주의플라톤(Plato)은 “좋음”이 단지 개인의 취향이나 문화의 산물이 아니라고 보았습니다. 그는 ‘좋음’이라는 개념이 감각 세계를 넘어선 이데아 세계에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데아란 현실 세계의 본질적 원형으로, 모든 좋은 것들은 이 ‘선의 이데아’를 모방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지요.“선의 이데아는 모든 지식과 진리의 근원이다.” – 플라톤, 『국가』따라서 플라톤.. 2025. 4. 2. 이전 1 다음